데이터 베이스 보안
1) 데이터베이스 보안의 개요
- DB 사용자들은 일반적으로 서로 다른 객체에 대해 다른 접근 권리 또는 권한을 가짐
- DB 일부분 또는 전체에 대해서 권한이 없는 사용자가 액세스하는 것을 금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술
2) 접근통제
- 데이터가 저장된 객체와 이를 사용하려는 주체 사이의 정보 흐름을 제한
→ 임의 접근통제(DAC, Discretionary Access Control) 데이터에 접근하는 사용자의 신원에 따라 접근 권한 부여
- 접근통제 권한=주체(소유자)
→ 강제 접근통제(MAC, Mandatory Access Control) 주체와 객체의 등급을 비교해 접근 권한 부여
- 접근통제 권한=제3자
→ 역할 기반 통제(RBAC, Role-Based Access Control) 권한이 있는 사용자들의 역할에 따라 접근 권한 부여
- 접근통제 권한 =중앙관리자 (역할 할당, 역할 권한 부여)
3) 접근통제 3요소
접근통제 정책, 접근통제 보안모델, 접근통제 메커니즘
3.1) 접근통제 정책
신분 기반 정책(identity-based)주체나 그룹의 신분에 근거해 객체의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
e.g. IBP(Individual-Based Policy), GBP(Group-Based Policy)
규칙 기반 정책(rule-based) 주체가 갖는 권한에 근거해 객체의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
e.g.MLP(Multi-Level Policy), CBP(Compartment-Based Policy)
역할 기반 정책(role-based) 주체가 맡은 역할에 근거해 객체의 접근을 제한하는 방법
e.g. 인사 담당자, DBA(Database Administration)
3.2) 접근통제 메커니즘
-접근 통제 정책 구현하는 기술적인 방법
→ 접근통제 목록(ACL; Access Control List) 객체를 기준으로 특정 객체에 대해 어떤 주체가 어떤 행위를 할 수 있는지를 기록한 목록
→ 능력 리스트(CL; Capability List) 주체를 기준으로 주체에게 허가된 자원 및 권한을 기록한 목록
→ 보안 등급(Security Label), 패스워드, 암호화
3.3) 접근통제 보안 모델
-접근 통제 정책 구현 위한 정형화된 모델
→ 기밀성 모델 군사적인 목적으로 개발된 최초의 수학적 모델, 기밀성 보장 최우선
e.g. 벨라파듈라 모델: No Read UP(기밀성), No Write Down
→ 무결성 모델 불법적인 정보 변경을 방지하기 위해 무결성을 기반으로 개발된 모델
e.g.비바 모델: No Read Down, No Write Up(무결성)
→ 접근통제 모델 접근통제 메커니즘을 보안 모델로 발전시킨 것
e.g.접근통제 행렬(Access Control Matrix): 행=주체, 열=객체
4) 데이터베이스 백업 종류
물리 백업 | 로그 파일 백업 실시 | 완전 복구 |
로그 파일 백업 없음 | 백업 시점까지 복구 | |
논리 백업 | DBMS 유틸리티 |
로그 파일
데이터베이스의 상태 변화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모두 기록한 파일
'Challenges > 정보처리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보처리기사]3.데이터베이스 구축/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/스토리지,논리 데이터 모델의 물리 데이터 모델 변환 및 품질 검토 (0) | 2022.06.11 |
---|---|
[정보처리기사]3.데이터베이스 구축/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/데이터베이스 이중화, 서버 클러스터링 (0) | 2022.06.10 |
[정보처리기사]3.데이터베이스 구축/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/분산 데이터베이스 설계 (0) | 2022.06.08 |
[정보처리기사]3.데이터베이스 구축/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/인덱스, 클러스터 (0) | 2021.09.17 |
[정보처리기사]3.데이터베이스 구축/물리 데이터베이스 설계/트랜잭션 (0) | 2021.09.16 |